본문 바로가기
정보성 글

무량판 구조란? 장단점 및 부실 아파트가 된 이유와 명단 확인법

by 성공한블로거 2023. 8. 11.
반응형

무량판 구조란 키워드로 뉴스와 각종 sns에서 난리가 났습니다. 언뜻 보면 무량판 구조로 아파트를 만드는 것이 굉장히 위험한 공법으로 만드는 것이라 오해할 수 있는데 철근을 빼먹어서 그런 거지 공법 자체에는 문제가 없습니다. 이번에는 무량판 구조란 무엇이며 장점 단점 그리고 부실 아파트 명간 및 우리 아파트가 어떤 공법으로 만들어진 아파트인지 알아보겠습니다.

 

 

무량판 구조란?

무량판구조
무량판 구조

무량판 구조는 건축 디자인의 한 형태로, 구조물 내부에 기둥과 같은 수직적인 구조물을 최소화하거나 없애고, 대신 넓은 공간을 만드는 디자인 접근 방식을 의미합니다. 이런 디자인은 건물 내부에서 더 많은 공간을 확보하고, 고객들에게 편리한 이용 환경을 제공하는 데 주로 활용됩니다. 한자로 해석해 보면 대들보가 없는 구조를 의미합니다. 교량 건설등에 이용되던 공법이지만 아파트 시공에도 상당히 많이 사용되고 있는 공법으로 벽식 구조보다는 층간 소음등에 강하며 기둥식 구조보다는 공사비는 저렴한 장단점이 있는 공법입니다.

무량판 구조의 종류

  • 단순 무량판 구조: 기둥 보강 없이 단순한 기둥으로 지지되며 경간이 6~9미터 정도인 공간에 적합합니다.
  • 드롭패널 구조: 기둥 상단에 두께가 증가하는 드롭 패널을 사용하여 전단 저항성을 향상합니다.
  • 칼럼헤드 구조: 기둥 상단에 확장된 부분인 컬럼 헤드를 사용하여 전단파괴를 방지합니다.

무량판 구조와 다른 아파트 구조별 비교

아파트 바닥 구조
https://www.yna.co.kr/view/GYH20230801002100044?input=1363m

  • 벽식구조: 저렴하고 짧은 공사기간 / 층간소음 취약
  • 기둥식 구조: 소음 차단 효과 높고 리모델링이 용이 / 비싸고 긴 공사기간
  • 무량판 구조 : 벽식에 비해 층간소음에 강하고 기둥식에 비해 공사기간이 짧다.

기둥식과 벽식의 중간단계적 공법이라고 생각하면 됩니다. 공사비 역시 소비자가 부담을 하게 때문에 안전을 위해 너무 많은 공사비가 들어간다면 오르는 건축비 때문 에라도 아파트 비용은 더욱더 비싸질 테니까요 머 그래도 아파트값 비싼데 철근을 싹싹 빼먹는 건 문제가 있습니다.

무량판 구조의 장단점

무량판 구조의 장점은 명확합니다. 넓은 공간은 상점이나 전시 공간 등에서 제품이나 작품을 부각하는 데 도움이 되며, 고객들에게 편안한 쇼핑 경험을 제공할 수 있습니다. 그러나 이러한 디자인은 주의해야 할 점들도 존재합니다.
주요한 위험 중 하나는 구조적 안정성의 문제입니다. 무량판 구조에서는 기둥이나 지지체가 부족하거나 부적절하게 배치되었을 경우, 건물의 하중 분산에 문제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중앙에서 발생하는 하중이 테두리로 전달되면서 구조물의 불안정성이 증가할 수 있습니다.

 

 

삼풍백화점 붕괴 사고와 무량판 구조

1995년 발생한 삼풍백화점 붕괴 사고는 무량판 구조의 위험성을 잘 보여주는 사례 중 하나입니다. 이 사건은 대한민국 서울시에서 발생했으며, 삼풍백화점 건물이 무량판 구조 디자인의 문제로 인해 붕괴되어 많은 인명 피해를 발생시켰습니다. 그러나 이것도 무량판 구조 자체의 문제보다는 설계된 구조와 실제가 달라 무너진 문제로 설계도에는 기둥이 80cm였으나 실제는 60cm에 불과했으며 추가로 옥상에 건물이 견딜 수 있는 하중보다 큰 물탱크가 한몫을 했다는 의견도 많이 있습니다. 아파트에 임의로 풀장을 만든다면 구조적 결함으로 연결될 수 있으니 조심할 필요가 있겠습니다.

무량판 구조가 문제가 아니라면 부실 아파트가 된 원인은?

무량판 구조는 기둥식 구조에 비하면 약한 지지력을 가지고 있습니다. 확실한 계산과 안전성을 확보한 설계가 뒷받침 되어야 하며 시공단계에서도 이를 충분이 반영하여 문제가 없게 해야 합니다. 그러나 이번 부실 아파트는 설계단계에서 부터 철근 양에 문제가 있었고 이것을 시공하는 곳에서 한 발짝 더 나아가 설계보다도 철근의 양을 줄여서 시공을 한 것이 이유가 된 것입니다. 또한 감리단계에서도 이 같은 사실을 발견하지 못하여 설계 시공 감리 전체의 하모니로 만들어낸 충격적인 사태입니다.

안전한 무량판 구조의 구현 방법

무량판 구조를 적용하려면 디자인과 구조 계획 단계에서 신중한 고려가 필요합니다. 구조적 안정성을 확보하기 위해 강화된 지지체나 보강 구조를 고려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또한, 건물의 사용 목적과 잠재적인 하중을 고려하여 적절한 설계와 시공이 이루어져야 합니다.

무량판 아파트 명단

입주 완료

  • 파주 운정 A34 임대 (1,448세대)
  • 남양주 별내 A25 분양 (380세대)
  • 음성 금석 A2 임대 (500세대) 무려 82.1% 누락...
  • 공주 월송 A4 임대 (820세대)
  • 아산 탕정 2-A14 임대 (1,139세대)
  • 누락 원인은 구조계산 누락, 다른 층 도면으로 배근, 단순 누락 등이다.

입주 중

  • 수서 역세권 A3 분양 (597세대)
  • 수원 당수 A3 분양 (400세대)
  • 충남도청 이전 신도시 임대 (822세대)
  • 입주 중인 단지는 3단지, 1,819세대이다. 철근 누락률이 2~4% 대로 알려져 있다.

입주 예정

  • 오산 세교 A6 임대 (767세대)
  • 양주 화천 A15 임대 (880세대)
  • 광주 선운 2 A2 임대 (606세대)
  • 양산 사송 A2 분양 (479세대)
  • 양산 사송 A8 임대 (808세대)
  • 파주 운정 3 A23 분양 (1,012세대)
  • 인천가정 2 임대 (510세대)
  • 입주 예정 단지는 총 7단지, 5,062세대이다. 여기가 누락률이 가장 높은 것으로 알려져 있다.

 

우리 아파트는 확인하는 방법

1. 경기도일 경우 아래에 접속

http://kras.gg.go.kr/land_info/info/baseInfo/baseInfo.do -> 주소창에 URL 복사 붙여 넣기

경기도 이외의 지역은 오른쪽에 본인 지역이 링크로 뜬다. 

2. 도로명 주소 입력 해주고 건축물 정보 확인 

우리아파트확인방법
우리아파트 확인 방법

철근 콘크리트로 나오면 무량판과 기둥식의 두 가지 공법으로 만들어진 아파트이다. 우리 아파트가 고급 브랜드의 아파트가 아니라면 무량판일 가능성이 높다.

 

한 번 더 체크를 위해 네이버 부동산 도면을 확인하는 것도 방법이다.

 

무량판 확인 도면
무량판 확인 도면

X자로 표기된 곳은 기둥을 의미하고 까맣게 칠해진 부분이 있다면 무량판 구조라고 보면 됩니다.

 

무량판 구조는 장점도 확실한 공법입니다. 우리 집이 무량판 구조라 해서 너무 실망하고 고민할 필요는 없습니다. 다만 지진에 취약한 점등은 1~2년 살고 말 그런 집이 아니기에 개선이 필요하기도 합니다. 무량판 공법이 잘못이 아니라 설계 시공 감리에서 철근을 누락시킨 시공사 건설사 감리감독을 해야 할 정부의 문제입니다. 

반응형

댓글